본문 바로가기

기본

새날의 길

길은 어디로나 통하고 있다.

우선 넓은 길이 보이고 좁은 길도 어디로든 이어져 있다.

지금까지 느긋하게 이길 저길을 다녀보았다.

어딘가로 올라가는 길은 거의 어김없이 좁고 가파르고

돌아 오는 길 또한 거칠기는 매한가지다.

넓은 길은 주로 평지에 해당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편리한 길이다.

그러데 우리 사람들이 살아가는 길은 자기가 보아도 확실하지 않은

폭도 깊이도 알 수없는 어렴풋한 참으로 묘한 길이다.

이 길은 오로지 오직 자기 혼자만의 스스로 가는 길이다.

누구도 대신갈 수도, 알 수도 없는 길. . . 

스스로 살아서 드러낸 자취만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볼 수가 있다.

그 흔적마저도 짐작하거나 짐작될 뿐이지 확연한 것이 아니다.

이렇게 살펴보니 무엇하나 확실하게 "이거다"하고 말할만한 길이 삶에는 없는 것인가?

그래서 삶은 왕도가 없다고 하면서도 대도무문 이라고도 했던가!

오늘은 이 삶의 길에서 한면을 살펴보고 내삶 이라고 하는 것을 들추어 보자.

얼마전 한 재벌가의 촉망받던 아들인 총수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사실이

우리들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준 기억을 하면서 내 삶과 비교를 해본다.

같은 해에 태어나 내가 이 세상을 처음 대한 곳은 낙동강변의 작은 시골마을이다.

다른 성이라고는 송씨 한집과 안씨 한집 그리고 6.25사변으로 갈 곳을 잃어서

동네에서 허드렛 일을 해주고 의탁하며 이집 저집을 돌아다니는 송씨의 친척 한집이 있었고,

그리고는 모두 박씨들로 아래 윗마을을 다 합쳐서

오십여집 정도의 사람들이 모여살던 한가로운 시골의 마을이다.

길이라고는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이 있으면

옆으로 비켜설 곳이 없어서 한 발을 내려서야만 되면서

서너발은 올라서야 다시 갈 수가 있었던 좁은 마을 길이 동네 앞 동구밖까지 나 있었다.

지금은 기찻 길이 있는 역전 마을이 되어 수많은 자동차와 기차,

심지어는 멀지 않은 곳에 비행장마져 생겨서 서울 부럽지 않은 곳이 된 마을이다.

그런 고장에서 가난한 농가의 맏아들로 태어나서 산전수전 다 겪으며 전국 곳곳을

떠돌듯이 살아오다가 이제는 서울 강남의 포이동에 자리를하여 살고 있다.

위의 그 재벌의 아들과 시골 농부의 아들인 내가 살아가는 것은

부모의 직업이나 태어난 환경만 다를 뿐 각자가 살아야 할 길은

우리 각자의 할 몫이었던 것이다.

우리가 이 삶에서 갈 길은 끝내는 한길일 것이다.

그 길은 아마도 이생에 오면서 스스로가 택한 길은 자기를 발견하는 길이다.

그러려면 "나는 누구인가?"를 제대로 해야만 하지 않을까?

자기가 누구인지도 모르면서 아무리 대단한 것을 한다고 해봤자,

결국에는 내가 왜 이 세상에 왔던가?로 결말이 될 것이다.

나는 누구인가? 참 나 ! 참 나, 원(One) !

'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북한산 진달래  (4) 2003.10.22
제 자리에 선 아침  (0) 2003.10.10
왜 동양화의 고장이 됐을까?  (0) 2003.10.05
나들이와 인정(2)  (0) 2003.10.04
나들이와 인정(1)  (2) 2003.10.03